연재


Dr. 윤의 포장이야기 56. 산소흡수포장

조회수 28

Dr. 윤의 포장이야기 56.

산소흡수포장


산소흡수포장재에는 ①파우치, ②블로(blow) 용기, ③PTP(블리스터) 등이 있다.


1. 산소흡수 파우치(사진 1. 참조)


사진 1. 산소흡수 파우치


산소흡수제에는 철, 유기화합물이 있으며, 철은 주로 백미의 죽 제품에, 유기화합물은 주로 떡의 개별포장에 사용되고 있다. 

산소흡수 파우치는 다수의 컨버터에서 제조되고 있는데, 예컨대 교도인쇄의 ‘Oxy catchⓇ ICA’는 수분이 필요하지 않은 산소를 흡수하는 필름으로 식품 이외에도 의약품,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다. 

유기계 탈산소재를 수지에 함유시킨 필름인 ‘Oxy catchⓇ PKF’ 방식은 가열이나 감마선을 트리거(trigger)로 산소 흡수 기능을 발휘한다. 또한 트리거 방식은 포장재로 사용할 때까지 보관하는 데 유리하다. 일본 제온(zeon)의 산소흡수수지 ‘Quintier EV series’는 EVOH와 조합해 이용할 수 있어서 산소투과율을 거의 제로(산소투과도 0.1 cc/㎡이하)로 만들 수 있고, 높은 습도 조건에서도 높은 차단성을 유지해 EVOH와 동등한 가공성과 기계특성이 있다. 필름 이외에 열성형 컵, 트레이, 병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.


2. 산소흡수 블로(blow)용기(사진 2. 참조)

사진 2. 산소흡수 개별포장


유기화합물의 산소흡수제가 마요네즈용의 공압출한 블로(blow)병, PE/EVOH/산소흡수층/EVOH/PE에 이용되고 있다. 일본의 큐피가 2005년 11월부터 ‘큐피 하프’, ‘큐피 제로 논 콜레스트롤’, ‘큐피 쿼터’ 등 3종류의 건강지향 마요네즈에 산소흡수병을 적용하기 시작했다. 


3. PTP(블리스터)

미츠이금속광업의 산화 세륨이 PTP(블리스터)용으로 제안되었지만, 아직 실용화되지 않았다.

식품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, 산소흡수 반응이 빨라 포장재 제조기술의 확립이 중요하다.


4. 산소차단포장재

산소차단성 포장재로 ①수지 자체의 차단성(EVOH, PVDC), ②표면가공에 의한 방법(산화규소 증착 PET 또는 ONY, 산화알루미늄 증착 PET, 알루미늄 증착 OPP, PET 또는 ONY, DLC처리의 PET병, 산화규소 증착 PET병), ③코팅에 의한 방법(PVDC 코트필름 또는 시트, 나노 셀루로스 배합 코트 PET필름 등), ④EVOH를 함유한 공압출 다층필름, 시트 등이 있다. 식품의 포장 후 가공법 또는 보존기간과의 조합으로 필요한 산소차단성 포장재가 이용되고 있다.


- 올패키징저널 Vol.58(2025. 3. 10) p22~23에 실린 내용입니다.